이탄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용인정)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비만(E66)이 주상병인 환자의 진료비는 212.6억원으로 2015년 10.2억원에 비해 약 218배로 폭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9년 여자 비만 환자 진료비는 146.3억원으로 남자 66.4억원에 비해 2.2배 높았다[표1].

2019년 비만(E66)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만 2,861명으로 2015년 1만 4,345명에 비해 59.4%로 증가했다. 이 중 여자는 1만 6,824명으로, 남자 6,037명에 비해 2.8배 높았다. 그렇지만 남자 비만환자 증가율도 역시 가파른 증가세이다[표2].
특히 20대 미만 아동·청소년의 비만 인구는 최근 5년간 전체 비만환자의 증가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15~2019년) 전체 비만 환자가 1.6배 증가하는 동안 20대 미만 비만 환자는 2.2배 증가했다[표2].
비만환자의 소득분위 구성을 보면 소득이 높은 사람의 진료비중이 높았다. 2019년 보험료분위별 비만환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소득이 높은 10분위, 9분위 환자가 가장 많았으며, 5년간 비만환자 증가율 역시 10분위(98.5%), 9분위(81.7%) 순으로 높았다[표3].
이탄희 의원은 “비만은 고혈압, 당뇨, 심혈관질환 등 각종 질환의 원인으로 의료비와 사망률을 증가시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비만 관련 비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우리 사회 비만은 더 이상 개인인 아닌 ‘사회적 문제’로 범정부 차원의 조기 관리와 의료적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아동·청소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미래세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