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채 의원은 스마트 버스정류장 확충으로 시민의 교통환경 개선돼야
스마트 버스정류장이란 더위나 추위를 피해 안전하고 쾌적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신 정보통신(IT) 기술을 접목한 정류장을 말하는데 최근에는 외국 방문객들이 SNS를 통해 전 세계에 소개할 정도로 주목받고 있다.
[광성일보] 이은채 의원은 요즘같이 무더위에 버스를 기다리는 것은 무척 불편하다. 특히 자칫 운행 간격을 맞추지 못해 긴 기다림으로 이어지면 더위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기에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불편이 스마트 버스정류장이 들어서면서 조금이나마 개선됐다.스마트 버스정류장이란 더위나 추위를 피해 안전하고 쾌적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신 정보통신(IT) 기술을 접목한 정류장을 말하는데 최근에는 외국 방문객들이 SNS를 통해 전 세계에 소개할 정도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스마트 버스정류장에는 ▲폐쇄회로(CCTV)와 비상벨 등 안전 기능 ▲냉·난방기, 공기정화장치 등 환경 기능 ▲유·무선 휴대폰 충전 의자, 실시간 버스 도착 정보 안내 등 편의 기능을 제공해 시민들의 만족도가 높다.광주시에 스마트 버스정류장이 들어설 수 있었던 것은 이은채 시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의 노력이 컸는데 광주시에 스마트 버스정류장 구축사업을 적극 제안하면서 사업이 추진됐기 때문이다.광주시는 스마트 버스정류장 구축사업을 수립하고 지난 2023년부터 올해 말까지 총 11억원을 전액 국비를 확보해 8개소를 설치했다.현재까지 설치된 스마트 버스정류장은 ▶광주터미널 참조은병원 앞 ▶초월역(롯데아파트 방면) ▶보건소(공설운동장 방면) ▶광주터미널 ▶삼동역 ▶경기광주역(2곳) ▶경안동주민센터 앞 총 8곳이다.
관련해 이은채 의원은 "스마트 버스정류장에는 냉·난방과 공기 청정, 와이파이 시설 등이 갖춰진 만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편의를 높일 수 있기에 사업을 제안하게 됐다"며 "추후 스마트 버스정류장이 확대 설치될 수 있도록 집행부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수고해 주신 김수라 과장님을 비롯한 담당 공직자와 소병훈 국회의원님께 깊이 감사를 드린다”고 덧붙였다.아울러 광주시는 내년에도 남한산성로타리, 퇴촌농협, 초월읍행정복지센터(맞은편) 총 3곳을 선정해 확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시 관계자는 "광주시 버스정류장 전체를 대상으로 다수 버스 이용 밀집 정류장과 인도 폭, 대기시간, 유동 인구, 무더위 등 계절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스마트 버스정류장을 추가 설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