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상공회의소(회장 정영배)가 2024년도 중소기업 경영전망 조사

국내 경기회복시점은 당분간 미회복을 가장 많이 예상하였으며, 2023년 대비하여 2024년 매출액과 투자, 고용을 증가하겠다는 기업이 감소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024-01-19     광성일보

[광성일보] 성남상공회의소(회장 정영배)가 1월 5일 ~ 1월 15일까지 성남지역 중소기업 108개사를 대상으로 「2024년 중소기업 경영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22년과 대비하여 2023년 매출액이 증가한 기업이 39.8%, 감소 46.3%, 변화없음 13.9%>로 응답하였다.2023년 매출액이 감소한 기업은 46.3%로 조사되었으며,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으로 민간소비와 투자 등 내수가 위축됨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기업 성장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2023년 매출액 감소 요인으로 내수위축 48.2%, 원자재 가격 상승 19.7%, 수출 부진 12.5% 순으로 응답하여 내수위축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이 기업 성장에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3년과 대비하여 2024년 매출액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증가 47.2%, 감소 24.1%, 변화 없음 28.7% 순으로 응답하였다.2023년과 대비하여 2024년 기업 투자 전망은 증가 29.9%, 감소 15.9%, 변화 없음 54.2%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전년 대비 고용 전망은 증가 38.9%, 감소 11.1%, 변화 없음 50%로 응답하였다.이에 2023년 매출액과 투자, 고용 전망에 대해 증가기업이 감소기업보다 높아 2024년 경영 전망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을 조사되었다.반면, 우리나라 경제에 가장 큰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내수경기 침체 55.6%, 고유가 및 고환율 16.7%, 무역 분쟁 및 수출 부진 장기화 15.7% 순으로 응답해 물가상승에 따른 내수시장 위축이 경제침체의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국내 경기회복시점은 당분간 미회복 38%, 2025년 31.5%, 2024년 하반기 29.6%, 2024년 상반기 0.9% 순으로 나타나 대다수 기업들이 당분간 미회복을 경기회복시점으로 선택했다.

특히 2024년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물가관리 및 금리정상화 55.6%, 기업부담 규제 완화 13.9%, 수출경쟁력 강화 12%, 미중갈등 등 대외위험 관리 9.3%, 정부의 금융·세제 지원 7.4% 순으로 나타나 물가관리 및 금리정상화에 이어 기업부담 규제 완화가 기업성장의 최우선 과제로 조사되었다.성남상의는 “지난해 고물가⦁고금리⦁고유가 등 이른바 3고 현상이 지속되는 산업 환경 속에서도 관내 중소기업들이 기업 성장에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2024년에는 물가관리 및 금리정상화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이며, 금융⦁세제 지원, 기업부담규제 완화 등 정부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