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민행동, 일본 방사성 오염수 2차 해양투기 규탄 및성남시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는 기자회견 개최

성남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방사성 오염수 2차 해양투기를 규탄했다. 또한 성남시가 성남시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3-10-12     광성일보

[광성일보] 일본방사성오염수해양투기저지성남시민행동(이하 성남시민행동)은 10월 12일(목) 성남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방사성 오염수 2차 해양투기를 규탄했다. 또한 성남시가 성남시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정기 성남환경운동연합 집행위원은 “핵 오염수의 위험도나 처리방법의 안전성 등에 대한 의견이 전문가와 국가의 입장에 따라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는 “그 어떤 의견도 확실히 안전하다고 보장할 수 없다”는 뜻과 같다고 발언했다.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대통령과 정부는 가장 위험한 결과를 상정하고 그에 대한 가장 안전한 대책을 마련해서 국민의 불안을 해소시켜줘야 한다”고 강조했다.서현 학부모는 “먹이사슬의 최상위인 사람이 방사능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면, 그 농축된 오염도에 따른 피폭량은 어마어마할 것이며, 특히 앞으로 더 많은 삶이 남은 아이들에게 먹거리에 대한 안전한 장치를 마련해 주는 것이 우리들의 의무”라고 주장하며, “아이들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강조했다.

장옥현 성남YWCA사무총장은 “일본의 핵오염수 1차 해양투기 이후, 성남시는 윤석열 정부와 같이 우리들의 불안과 우려를 괴담이라고 치부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며, “방사능 검사를 매주 진행하고, 그 결과를 공개해서 수산물 안전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유지해야 한다”고 발언했다.성남시민행동은 이날 일본 핵 오염수를 방류 할수록 바다에 방사능 물질들이 축적되고 이는 생물농축의 위험성으로 이어져 식품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내용의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성남시민행동은 성남시의 바다 생태계와 먹거리 산업 종사자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핵 오염수 해양투기 반대 입장 표명을 요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