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복 의원이 교육부 연구과제 방만 관리 ... 8년간 1,240여억원 손실

한국연구재단에서 수행한 교육부 연구과제의 중단으로 막대한 금전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09-27     광성일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시흥갑)이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2년 8월까지 교육부 소관 국책연구 과제의 중단이 3,120건에 이르며, 이로 인해 낭비된 비용은 총 1,240억 7,000만원에 달한다.

연구과제 중단 사유는 ▲담당 연구원의 이직이 2,788건(89.4%)으로 가장 많았으며 ▲담당 연구원 학위 졸업이 166건(5.3%) ▲연구자의 수행 포기 100건(3.2%) ▲연구자의 사망 및 건강문제 49건(1.6%) ▲연구제재에 따른 강제 중단 17건(0.5%) 순으로 조사됐다.특히 17건의 강제 중단 사유는 연구비 용도 외 사용 12건, 연구결과 불량 2건, 법령 및 협약 위반 2건, 연구자 파면 1건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5년 당시 236건이던 연간 연구중단 사례가 2019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6백건 대를 기록하며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연구비 환수액은 전체 중단연구비의 0.6%에 해당하는 7억6,000만원에 그쳤다.이 같은 문제를 막기 위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작년 초 제정돼 시행 중이나, 대부분 연구중단 사유가 이 법에서 정하는 정당한 사유에 포함돼 연구비 환수는 더욱 어려워진 실정이다.문정복 의원은 “교육부 연구과제의 중단으로 1,240억원에 달하는 나라 예산이 낭비됐다”며 “중단 사유 대부분 연구원의 이직인 것으로 나타난 만큼, 향후 연구자 선정 및 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